bluayer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bluayer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5)
    • Log.Math (1)
      • 선형대수학 (1)
    • Log.Develop (54)
      • DB (3)
      • PS (1)
      • Retrospection (10)
      • JS&TS (4)
      • SpringBoot (3)
      • Node.js (2)
      • Other (5)
      • DevOps (8)
      • Architecture&Design (4)
      • Culture (5)
      • DDIA (9)

검색 레이어

bluayer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Log.Develop

  • 2024년 회고

    2024.12.22 by bluayer

  • SOPT Makers 활동 회고

    2023.11.15 by bluayer

  • 2022년 회고

    2022.12.25 by bluayer

  • Notion에서 Postgres를 샤딩하면서 얻은 교훈 (번역)

    2022.06.20 by bluayer

  • Google True Time(구글 트루 타임)

    2022.06.10 by bluayer

  • Chapter 7. Transaction(트랜잭션) - Part 1

    2022.06.10 by bluayer

  • Chapter 10. Batch Processing(일괄 처리)

    2022.06.10 by bluayer

  • Chapter 9. 일관성과 합의 - Part 2

    2022.06.10 by bluayer

2024년 회고

개인 블로그에 글을 참 오랜만에 쓴다.개인 블로그가 아니더라도 회사 블로그에는 꾸준히 글을 쓰고 있긴 했지만, 올해 소회를 적고 싶어 개인 블로그를 찾게 되었다. 요즘 처음 회고를 썼던 2020년부터 한 발자국, 한 해가 모두 내 분기점이라는 생각이 든다.가끔 친구들을 만나면 이런 이야기를 듣는다. "이제 적당히 해도 되지 않아?"나도 일부 동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간절한 마음과 여러 고민들을 가지고 일하고 있다.한 해, 그리고 그 다음 한 해가 아직까지는 매년 색다른 기분이 들고 지금은 이걸 놓치고 싶지 않은 간절함.특정 시점이 오면 지금의 열정과 호기심을 잃어버리지 않을까, 교만해져서 멈추지 않을까 하는 고민들.2025년에도 간절한 마음으로 내 분기점을 개척해 나가고 있길 바란다. 2024..

Log.Develop/Retrospection 2024. 12. 22. 16:26

SOPT Makers 활동 회고

서론 어쩌다보니 거의 1년 만에 블로그에 글을 쓰게 되었다. 회사에서 개인 블로그에 글을 쓰는 것에 좀 민감해하는 부분이 있어서 블로그에서 테크니컬한 컨텐츠를 다루지 않다보니, 크게 쓸 얘기가 많지 않아서 글 쓰는 것을 좀 멀리하게 된 거 같다. 물론 물리적인 시간이 없기도 하고, 내 블로그에 글 쓰는 것보다 회사 블로그에 글을 써보고 싶은 욕구가 있어서 미뤄졌다. 이 글은 그래도 써야지 써야지하고 미루던 메이커스 활동 회고다. 나름대로 아예 초창기 활동 기수인 1~2기를 하기도 했고 거의 1년에 가까운 기간동안 애정을 가지고 활동해서 회고를 써야 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당연히 내 홈그라운드인 서버 파트에서 활동했고, 서버 리드도 한 기수하고, 기회가 닿아서 솝트 앱잼 멘토로도 갔다. 생각해보니 내..

Log.Develop/Retrospection 2023. 11. 15. 21:31

2022년 회고

서론 2022년 회고를 쓰기에 앞서, 2020년과 2021년 회고를 읽어봤습니다. 직장을 다니기 시작하면서 매년 회고를 작성하고 있는데요, 해마다 감회가 새롭습니다. 스스로 성장한 모습이 재밌기도 하고 또 다음 해에는 어떤 일들을 겪고 성장해 있을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늘 제 곁을 지켜주는 좋은 사람들이 해마다 늘어서 감사하고 또 고마울 따름입니다. 저의 2022년을 상징하는 키워드라고 한다면 "의외의 기회들"인 것 같습니다. 의외의 기회 (1) 올해 생긴 첫 번째 기회는 링크드인을 통해 찾아왔습니다. 국내에서 유명한 핀테크 회사의 리쿠르터 분이 링크드인을 통해 지원해볼 생각이 있는지 물어봐주신 것이 계기였습니다. 당시에 진행하고 있던 프로젝트가 계속 Drop될까 말까 하던 상황이어서 회사에 회의..

Log.Develop/Retrospection 2022. 12. 25. 00:18

Notion에서 Postgres를 샤딩하면서 얻은 교훈 (번역)

역자 서론 본 글은 노션 블로그에 작성되어 있는 Garrett Fidalgo의 코끼리 방목 : Notion에서 Postgres를 샤딩하면서 얻은 교훈 ("코끼리"는 PostgreSQL의 마스코트라, 코끼리 방목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 같습니다)을 읽고 번역한 글입니다. 참고로 Notion 팀에 허락을 받고 번역한 글이 아니며, 따라서 해당 글은 언제든지 내려갈 수 있습니다. 또한 원본의 글 의미를 살리고자 최대한 직역하고자 노력했지만, 직역한 경우 너무 이해가 안되는 일부분은 의역하거나 역자의 설명을 달아두었습니다. 서론 올해 초에 우리는 예정된 유지 관리를 위해 5분동안 Notion을 중단했습니다. 우리는 "향상된 안정성과 성능"을 암시했고, 이를 위해서 몇달동안 매우 긴박하고 집중적으로 팀 규모의 작..

Log.Develop/Architecture&Design 2022. 6. 20. 19:00

Google True Time(구글 트루 타임)

서론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책을 읽으면서 스터디 하던 중, Google True Time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다. 해당 내용이 더 궁금해서 찾아본 내용을 정리했다. https://bluayer.com/60 Chapter 8. 분산 시스템의 골칫거리 - Part 1 소개 본 글은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마틴 클레프만)으로 스터디하며 해당 책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github.com/ddia-study/ddia-study GitHub - ddia-study/ddia-study: 데이터 중심 어플.. bluayer.com Google True Time API란? 분산 시스템 내에서 시계는 물리적이든, 논리적이든 잘못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시계 읽기를 어떤 시점으로 생각하는 것..

Log.Develop/Other 2022. 6. 10. 10:53

Chapter 7. Transaction(트랜잭션) - Part 1

소개 본 글은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마틴 클레프만)으로 스터디하며 해당 책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github.com/ddia-study/ddia-study GitHub - ddia-study/ddia-study: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설계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설계. Contribute to ddia-study/ddia-stud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서론 트랜잭션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몇 개의 읽기와 쓰기를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묶는 방법이다. (중략) 트랜잭션은 자연법칙이 아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프로그래밍 모델을 단순화하려는 목적으로 만든 것이다. ACID의 의미..

Log.Develop/DDIA 2022. 6. 10. 10:38

Chapter 10. Batch Processing(일괄 처리)

소개 본 글은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마틴 클레프만)으로 스터디하며 해당 책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github.com/ddia-study/ddia-study GitHub - ddia-study/ddia-study: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설계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설계. Contribute to ddia-study/ddia-stud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서론 서비스(온라인 시스템) 일괄 처리 시스템(오프라인 시스템) : 처리량이 대표적인 지표 스트림 처리 시스템 : near-real-time processing / nearline processing 유닉스 도구로 일괄 처리하기 단순 로그 ..

Log.Develop/DDIA 2022. 6. 10. 10:32

Chapter 9. 일관성과 합의 - Part 2

소개 본 글은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마틴 클레프만)으로 스터디하며 해당 책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github.com/ddia-study/ddia-study GitHub - ddia-study/ddia-study: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설계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설계. Contribute to ddia-study/ddia-stud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분산 트랜잭션과 합의 합의의 목적 : 여러 노드들이 뭔가에 동의하게 만드는 것 노드가 동의하는 것이 중요한 상황 리더 선출 : Split brain 원자적 커밋 : 모든 노드가 트랜잭션 결과에 동의하게 만들어야 함. 원자적 커밋과 2PC 트..

Log.Develop/DDIA 2022. 6. 10. 10:30

추가 정보

05-12 17:24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7
다음
Github
bluayer © bluayer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